본문 바로가기

부동산60

3기신도시 사전청약 2021년-1차 모집호수와 위치, 예상분양가, 접수일정

최초 작성일 : 210711 7월에 2021년 1차 사전청약 실시한다고만 되어 있고 자세한 내용이 알려진게 없다가, 이제 슬슬 뉴스에 7월 15일에 청약 공고문이 뜰 것으로 기사가 나오고 있습니다. 각 지구별 사전청약 호수와 예상 분양가도 돌고 있는데요. 공식적인 정부의 공지가 나온게 없지만 대략 미리 알아볼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특별공급 기관추천 공고문을 찾아보는 것입니다. 기관추천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는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 특별공급 기관추천 장애인, 다문화 배점표와 커트라인 이번 3기신도시 사전청약에서도 마찬가지로 특별공급 기관추천 할당이 있습니다. 2021-1차 사전청약 일정 실제 청약 신청일보다 미리 기관추천 접수를 받아서 선정을 해야 대상자를 정하고, 청약 신청일에 신청을 .. 부동산 2023. 3. 21.

종부세란? 과세대상 기준과 종합부동산세 계산기 (913대책)

2018년 9월 13일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 김동연은 종합부동산세 강화를 발표했다. 당시 자한당과 조중동이 합심해서 깎아내리며 맹공세를 펼쳤다. 1주택자도 종합부동산세를 강화한다, 문재인 정부가 전국민에게 세금 삥뜯는다, 라는 주장이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정치적인 얘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관심이 없더라도 종부세 정도는 상식으로 알아두면 나쁠 게 없어서 정리해놓고자 한다. 먼저 종합부동산세의 출범이력을 간략히 살펴보고 넘어갈텐데, 과거 이력은 관심없고 그래서 현재 나한테 좋은거여 나쁜거여 이거만 궁금한 사람은 아래로 넘어가면 된다. 더보기 종합부동산세는 김대중 정부때 개념이 잡히고 노무현 정부때 출범된 세금제도이다. 부동산을 많이 보유한 사람에게 세금을 더 걷어서 과세형.. 부동산 2023. 3. 11.

에버그란데 (헝다그룹) 사태후 중국 부동산 시장의 5조 달러 부채

부동산 개발자들은 그동안 막대한 부채를 쌓아왔다. 이제 주택 판매는 감소중이고, 정부에선 대출 억제를 도입하며 구매자들은 높은 가격에 주저하고 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중국의 부동산 개발회사 헝다그룹은 (에버그란데) 중국 정부가 과열된 부동산 시장을 길들이면서 최초로 심각한 상황이 주목받은 회사이다. 하지만 이는 마지막이 아니다. 많은 경제학자들이 말하는 것과 같이 중국은 역사상 유례없는 부동산 붐의 마지막 단계에 놓여있다. 노무라 홀딩스의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경기가 좋을 때 받은 5조달러 이상의 부채가 충격적인 고지서로 다가오고 있다. 이 부채 규모는 2016년 말의 두배이며 세계 3위 경제규모인 일본의 작년 전체 생산량보다도 많다. 국제 채권 투자자들로부터 차입한 개발 회사의 .. 부동산 2023. 3. 2.

확정일자 인터넷으로 받는법과 확인방법, 효력은?

전세계약시 유의사항과 필요한 절차들을 쭉 소개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인터넷등기소에서 온라인으로 확정일자를 받는법과 확인방법, 그 효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세계약시 유의사항 첫번째인 등기부 등본 열람하는 방법과 보는법은 이전 글들을 참고해주세요. ✅ 등기부등본 인터넷 발급방법 ✅ 등기부등본 보는법 표제부 갑구 을구 확정일자 필요한 이유 먼저 전세계약시에 대항력이라는 것을 갖추어야 집주인이 바뀌어도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는 말 들어보셨을 겁니다. 확정일자 전입신고 주택인도(실거주) 위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임차인의 대항력 효력이 발생하는데요. 대항력이 있으면 매매를 통해 집주인이 바뀌어도 임대인의 지위가 승계되어 새 집주인이 보증금 반환의무를 지는 효력이 있습니다. 반대로 말하면 대항력이 없을시 .. 부동산 2023. 2. 23.

등기부등본 신탁원부 인터넷열람 안됨, 법원등기소 방문 발급후기

전세계약시에 괜찮겠지 하는 안일한 마음으로 소홀히 하다 소중한 보증금을 날려선 안된다. 돌다리도 두드려보고 건너야 하는 것이 바로 부동산계약이다. 오늘은 법원 등기소 방문해서 등기부등본 신탁원부 발급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지난 포스팅들에서 누차 설명했지만, 등기부등본은 부동산의 소유권리와 현재 채무상태를 볼 수 있는 중요한 문서이다. 을구에 근저당이 없다면 깨끗해보일 수가 있는데 다만 신탁등기가 되어있는 경우는 신탁원부 내용을 필히 확인해야 한다. 신탁원부도 엄연한 등기부등본의 일부이지만 인터넷열람이 안되어 직접 법원 등기소를 방문해서 발급받아야 한다. 신탁등기가 무엇인지와 위험성에 대해선 지난글의 사례들을 꼭 참고해보도록 한다. ✅ 신탁등기란? 전세사기 미분양 이중계약 사례 수원지방법원 동수원등기소의 .. 부동산 2023.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