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ETF소개5

2025년 공모펀드 ETF 상장거래 도입 살펴보기

주식처럼 증권거래소에서 실시간으로 매매할 수 있는 새로운 투자 상품이 출시된다. 2025년 2분기부터 공모펀드를 증권거래소에서 직접 사고팔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동안 은행이나 증권사를 통해서만 가입하고 환매할 수 있었던 공모펀드가 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실시간 거래가 가능해진다. 이로써 복잡한 가입 절차와 높은 판매 수수료 부담에서 벗어나 더 편리하고 저렴하게 펀드 투자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공모펀드 상장거래의 배경과 구체적인 내용, 그리고 투자자와 시장에 미칠 영향을 살펴보려 한다.🔍 공모펀드 상장거래 도입 배경과 주요 내용펀드 가입하려고 은행이나 증권사 방문했던 경험, 누구나 한 번쯤 있을 거다. 그동안 공모펀드는 이런 금융기관 창구를 통해서만 가입하고 환매가 가능했어. 이 .. 주식투자/ETF소개 2025. 4. 20.

2018년 볼마게돈 사태 저변동성에서 VIX 레버리지가 시장에 미친 영향

금융 시장에서 전례 없는 충격파를 일으킨 '볼마게돈(Volmageddon)' 사태는 저변동성에 안주하던 시장이 하루 만에 어떻게 무너질 수 있는지 보여준 생생한 교훈이다. 2018년 2월 5일 발생한 이 사건은 변동성 지수의 폭등으로 역변동성 상품들이 순식간에 가치를 잃어버린 금융 시장의 블랙스완 이벤트였다. 오랜 저변동성 환경에서 과도하게 성장한 파생상품 시장이 붕괴하면서 시스템 리스크가 어떻게 확산되는지, 그리고 시장 참여자들의 집단행동이 어떤 결과를 초래하는지 적나라하게 드러낸 사례를 면밀히 살펴보자.🌋 볼마게돈의 전조 저변동성 환경 2017년 미국 증시는 마치 고요한 호수같은 평온함을 유지했다. VIX 지수는 평균 11.1을 기록하며 역사적인 저변동성 환경이 조성됐고, 투자자들은 이러한 안정세가.. 주식투자/ETF소개 2025. 4. 13.

미국주식 PTP 매도시 10% 세금내는 종목리스트 (예탁원 기준)

미국주식 할 때 특정 PTP 종목의 경우 수익 손실 여부에 상관없이 매도시 무조건 10% 세금을 징수하는 제도가 시행되었다. 이 중 대부분은 면제 기간을 연장하면서 아직 적용이 안됐는데 일부는 이미 적용되고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PTP 종목이란?PTP는 Publicily Traded Partnership의 약자로, 2인 이상으로 구성된 기업 지분으로 거래되는 특별한 회사 종류를 말한다. 이름 그대로 파트너십 구조의 회사인데, 파트너십의 지분을 일반 대중이 거래할 수 있게 공개 주식으로 제공하는 것이다.어려운 얘기는 빼고 쉽게 설명하자면 보통의 회사는 법인세를 낸다. 하지만 PTP는 수익이 투자자(지분소유자 = 파트너)에게 직접 전달되므로 회사가 법인세를 내지 않고 그 투자들이 세금을 내게 된다. PA.. 주식투자/ETF소개 2024. 8. 9.

인도 증시의 약진과 주식 추천 종목은? Nifty50

우리나라 사람이면 인도라는 국가를 생각할 때 못살고, 더럽다, 인권이 바닥이다, 위험하다, 이런 상상을 많이 하게 된다. 선입견일 지는 몰라도 실제로는 어느 정도 맞는 말이기도 하다. 하지만 탈중국 신냉전 시대인 지금 인도란 시장을 패스하기에는 너무나 큰 위험일지도 모른다. (투자 기회를 놓치는 것 또한 하나의 리스크 포인트이다.) 앞으로 인도란 국가의 발전을 예상해보고 어디에 어느 종목에 투자해봐야 할지 고찰해보자.1. 인도의 GDP 증가파란색 : 인도의 GDP 증가율회색 : 대한민국 GDP 증가율아래 차트에서 두 개의 차이를 보면 왜 인도에 투자를 해야 하는지 우선 결론부터 알 수 있다.한국은 이미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출산율이 박살난 상태이고 국민 연금이나 잘 받으면 그나마 다행인 것이다. 경제성장.. 주식투자/ETF소개 2024. 5. 24.

주식거품 꺼지나? 증시폭락장에 주목받는 미국 인버스 레버리지 ETF들

코로나19 폭락이 한창이던 2020년 3월 16일에 썼던 글이다.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사태와 리먼브라더스 파산으로 촉발된 금융위기 이후 전세계는 양적완화라는 미명아래 유동성 공급을 해대며 자산시장의 폭등을 야기해왔다. 지들만 살겠다고 미국처럼 실제 성장주 기업실적이 주가를 견인한 나라도 있었지만 우리나라처럼 내실을 다지지 않고 부동산 거품만 쌓은 나라도 있다. 2008~ 종합주가지수 추이 파랑 : 미국 검정 : 한국 빨강 : 일본 자주 : 중국 2008년 금융위기 전에는 중국장이 폭등했다 꺼지는 모양새가 있었으나 2009년부터 회복장세에 들어가면서는 특히 미국의 상승이 두드러진다. 가히 거침없이 멈출줄 모르고 계속 올랐다고 보인다. 아베가 돈풀고 경기부양하면서 일본 니케이 주식도 미국따라서 저점대.. 주식투자/ETF소개 2023.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