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크로경제69 2008 글로벌 금융위기 원인과 타임라인순 내용 정리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촉발된 원인과, 타임라인 (시간 순) 경과에 따른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러한 사태는 왜 일어났으며 어떤 피해를 입혔는지, 정상으로 돌아가는 해결 과정은 어땠는지 살펴보겠습니다. 1. 타임라인 2007년 8월 : BNP 파리바는 서브프라임 주택담보대출 익스포저로 인해 3개 헤지펀드에서 인출을 중단 12월 : 미국 주택 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하여 서브프라임 주택담보대출 채무불이행 연쇄 촉발 2008년 3월 : 투자은행 베어스턴스가 파산하고 연방준비제도의 지원을 받아 JP모건체이스에 매각 7월 : 모기지 공룡 패니메이와 프레디맥이 연방주택금융청 산하 관리에 들어감 9월 : 리먼 브라더스 파산 신청, 금융업계 도미노 효과 유발 9월 : 정부가 보험 대기업 AIG 인수 9월 : .. 매크로경제 2023. 10. 10. 더보기 ›› 금융 위기 때 발생하는 뱅크런 발생 원인과 대책 금융 위기는 금융 시스템의 불안정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bank run 역시 금융 위기의 대표적인 현상 중 하나입니다. Bank run은 은행에 예금을 예치한 대다수의 고객이 동시에 예금을 인출하려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은행이 갑자기 많은 자금을 출금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어, 자금의 부족으로 인해 파산 위기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bank run은 어떻게 발생할까요? 대체로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bank run의 발생을 촉진합니다. 1. 인지적 허용 한계 먼저 금융시스템에서의 인지적 허용 한계(conceptual limits of tolerance)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인지적 허용 한계란, 예상치 못한 금융시스템 위기의 규모와 성격이 어디까지 우리가 수용할 수 있는.. 매크로경제 2023. 10. 10. 더보기 ›› 대공황 핵심 요약, 전조 현상과 시기별 특징 대공황은 1929년부터 1939년까지 지속된 세계적인 경제 위기입니다. 20세기를 통틀어 단연 가장 길고, 가장 심각하며, 가장 광범위한 불황이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대공황의 발생 원인과 진행 과정을 시기별로 간추려 보았습니다. 흔히 대공황이라고 하면 1929년 주식시장 폭락만을 떠올리는데요. 보다 넓은 관점에서 그 배경이 근본적인 원인을 살펴보겠습니다. 시대적 배경 1920년대 미국은 '광란의 20년대'로 알려진 경제 성장과 번영의 시대를 경험했습니다. 이는 개인소비 증가, 실업률 저하, 공업생산 증가 등 몇 가지 요인에 의한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급속 성장의 이면에는 투기를 바탕으로 구축된 부분이 컸습니다. 당시의 시대적 배경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1914년에서 1918년까.. 매크로경제 2023. 10. 10. 더보기 ›› 닷컴 버블의 원인과 붕괴 과정 시간순 총정리 닷컴 버블은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전반에 걸쳐 일어난 기술 섹터에서의 투기 사례입니다. 당시에 버블이 잉태된 시대적 배경과 형성과정, 그리고 어떻게 꺼졌고 어떤 여파를 미쳤는지 시기 순으로 살펴보겠습니다. 1. 닷컴 버블의 유래 '닷컴 버블'이라는 용어는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전반에 걸쳐 주로 인터넷 기반 기업을 중심으로 테크놀로지 섹터가 투기적이고 빠르게 성장한 시기를 말합니다. "닷컴"이라는 용어는 다들 아시겠지만 웹사이트 주소에 사용하는 ".com"을 말합니다. 전자상거래 및 온라인 서비스에 초점을 맞춘 이들 기업들의 성장성이 주목을 받았고, 사명에 닷컴만 들어가도 주가가 폭등하곤 했습니다. 그래서 이 시기의 투기를 가리켜 닷컴 버블이라고 부릅니다. 이 시기에 인터넷 기업 .. 매크로경제 2023. 10. 10. 더보기 ›› 1997년 동아시아 외환위기 총정리 (IMF 사태) 우리에게는 IMF 사태로 더 알려져 있는데요. 정확한 명칭은 동아시아 외환위기입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당시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까지 영향을 준 금융위기였습니다. 발생하게 된 원인과 극복 과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발생 원인 1) 과대평가된 통화 동아시아 지역의 국가들에서는 자국 통화의 미국 달러에 대한 페깅으로 통화 가치가 과대평가 되었고 수출 가격이 점점 비싸지고 있었습니다. * 통화의 '페깅'이란 환율을 다른 통화(이 경우 미국 달러)로 고정하기로 한 국가 통화정책을 말합니다. 이는 자국 통화의 가치가 미국 달러의 가치와 직접 연결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미국 달러의 가치 변화는 자국 통화의 가치에 영향을 미칩니다. 어떤 나라가 자국 통화를 미국 달러에 고정하면 그 나라 통화 가치.. 매크로경제 2023. 10. 10. 더보기 ›› 이전 1 ··· 6 7 8 9 10 11 12 ···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