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36

장단기 금리차 역전은 불황신호, 채권 수익률 곡선 총정리

알쏭달쏭한 채권 금리와 수익률의 관계를 확실히 습득하고, 장단기 금리차를 이해해서 채권금리가 어쨌다 하는 경제기사를 문제없이 이해해보고자 한다. 더불어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면 왜 불황의 신호라고 하는지 살펴본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채권이란? 채권은 한단어로 말하자면빚문서이다. 어떤 기관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돈을 빌리면서갚을 기한과 이자를 명시한채무의증권 (재산적 가치를 명기한 증서) 이다. 채권 = 채무 증서의 증권화 증권화라는 얘기는 그 자체를 하나의 금융상품으로써 시장에서 사고 팔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화폐처럼 그것을 소지하고 있어야 자산의 가치가 인정된다. (그런 의미에서 화폐도 증권의 일종) A가 B에게 100만원을 빌리면서.. 매크로경제 2022. 12. 24.

채권 금리와 수익률 관계 유튜브 강의들 모음

투자공부의 시작은 금리와 채권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다짜고짜 경제 전망이 어떻고 하는 영상들만 찾아보곤 한다. 어려운 거시경제를 이해하기 이전에 먼저 채권의 수익률과 연준의 금리정책에 대한 개념을 잡는것이 필요하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돈워리스쿨 슈카월드 금리설명 아주 초보적인 수준에서 금리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이 돈워리스쿨에서 슈카가 알려주는 영상이 좋다. 왜 많은 사람들이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전망에 관심을 가지고, 또 금리가 경제와 우리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금리는 이자율이다. 어릴때부터 제대로 된 경제공부나 투자연습 없이 살아왔으니 평생 머리속에 박혀있는 개념이라고는 은행에 돈 맡기면 이자주는것, 반대로 은행에서 대출했.. 매크로경제 2022. 12. 24.

채권의 정의와 회사채 종류, 투자전략 정리

주식투자를 하더라도 꼭 알아야 하는 것이 채권입니다. 전세계 채권시장 시가총액은 $119T (15경원)이고 그 중 미국이 46T (5경9천조원)으로 주식 시장보다도 규모가 큽니다. 경제와 큰손의 움직임을 이해하는데 필수인 채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채권이란?? 장기의 거액자금을 집단, 대략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일종의 차용증서로서, 채무를 표시한 유가증권이다. 채권의 역할은 기업필요자금을 조달하며 투자자에게 자산운용수단을 제공한다. 이것이 정부의 경기예측 및 통화정책의 활용자료가 된다. 채권은 다음과 같은 성격을 갖는 증권이다. 확정이자부증권 : 발행시 채무자가 지급해야 할 이자와 상환액이 확정되어 있다 이자지급증권 : 주식과 달리 발행자는 수익발생여.. 매크로경제 2022. 12. 24.

등기부등본 열람 및 인터넷 발급방법

전세계약을 할 때 소중한 보증금을 떼이지 않기 위한 방법으로 1순위 근저당유무 확인해야 된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등기부등본을 왜 확인해야 되는지 짧게 설명드리고 인터넷으로 간단히 열람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전세계약시 대항력 확보 조건 중 또다른 하나인 확정일자 등록방법은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 확정일자 인터넷으로 등록하기 1. 등기부등본 확인하는 이유 가장 큰 이유는 계약하고자 하는 집으로 집주인이 빚을 냈는지 확인하는 목적입니다. 돈 빌려준 은행이 이 집에 우선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는지 보는 것이죠. 내 전세계약보다 앞선 대출이 있다면 집이 경매로 넘어갔을 때 은행의 권리가 먼저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등기부등본에는 전세계약하고자 하는 집의 집주인 이름과 주민번호, 그리고 등록된 .. 부동산 2022. 12. 23.

미국이 인플레이션을 수출한다는 의미 by 달러 기축통화국

이런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미국은 기축통화국이라서 달러를 마음껏 찍어낼 수 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기축통화국은 세계에서 통용되는 화폐, 기축통화를 발행하는 나라이다. 세계 공용어인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것처럼, 전세계가 쓰는 달러를 자기네 돈으로 쓰는 나라가 미국이다. 정확히는 전세계에 자기네 돈인 달러를 공용 화폐로 쓰게 만들었다. 그런데 그거랑 마음껏 화폐를 찍어내도 된다는 거랑 무슨 상관일까? 돈의 양이 급격하게 늘어나면 물가상승 즉 인플레이션이 수반된다는 것은 상식이다. 미국은 어떻게 그 고리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는 얘기일까. 오늘은 달러 기축통화국인 미국이 자국의 인플레이션을 수출한다는 개념에 대해 살펴본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인플레이션과 부작용 먼.. 매크로경제 2022.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