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매크로경제69

프랑스 혁명을 불러온 1780년대 재정위기

1780년대 프랑스의 재정위기는 프랑스 혁명의 직접적 계기가 된 경제적 재앙이었다. 미국 독립전쟁 지원과 왕실의 사치성 지출로 인한 막대한 국가부채는 결국 프랑스 절대왕정의 몰락을 초래했다. 특히 '아시냐'라는 혁명기의 지폐 발행은 역사상 최초의 대규모 하이퍼인플레이션을 야기했다. 위기 배경루이 16세 시대의 프랑스는 이미 심각한 재정문제를 안고 있었다. 귀족과 성직자의 면세특권으로 세수는 제한적이었으나, 베르사유 궁정의 사치성 지출은 계속 증가했다.여기에 미국 독립전쟁 지원으로 7년간 10억 리브르 이상을 지출하며 재정적자가 급증했다. 1786년 재무장관 칼론느는 국가부채가 연간 세입의 두 배를 넘는다고 발표했다.더욱 심각했던 것은 조세제도의 불공평성이었다. 인구의 2%에 불과한 귀족과 성직자들이 토지.. 매크로경제 2024. 11. 24.

최초의 현대적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영국 금융공황 (1825년)

1825년 영국 금융공황은 현대적 의미의 첫 번째 국제 금융위기다. 남미 광산 투자 버블의 붕괴로 시작된 이 위기는 영국 금융시스템 전반의 붕괴로 이어졌고, 전 세계 금융시장에 충격을 주었다. 특히 런던이 국제 금융의 중심지로 부상한 이후 처음으로 맞이한 대규모 위기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영국 금융공황 배경시대적 맥락1820년대 초 영국 경제의 특징• 나폴레옹 전쟁 종결 후 호황• 산업혁명의 본격화• 해외투자 급증• 은행업의 급성장• 주식회사 설립 붐• 금융시장 자유화투자 버블의 형성투자 대상투자 규모주요 특징남미 광산2,000만 파운드고위험/고수익 추구신생국 국채1,700만 파운드높은 이자율국내 운하/철도1,800만 파운드인프라 개발면직물 산업1,500만 파운드산업혁명 주도버블의 형성 과정.. 매크로경제 2024. 11. 23.

자산버블 거품의 대명사적 사건 튤립버블

1636-37년 네덜란드에서 발생한 튤립 버블은 역사상 최초의 투기 거품으로 기록된다. 특이한 무늬의 튤립 구근 가격이 비이성적으로 폭등했다가 붕괴된 이 사건은, 투기 심리와 군중 행동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고전적 사례다. 당시 한 개의 희귀 튤립 구근 가격이 암스테르담의 고급 주택 가격을 상회했다. 튤립 가격의 폭등대표적 튤립 품종별 최고가격 (1637년 2월 기준)• 셈페르 아우구스투스: 6,000 길더• 바이스 크룬: 2,000 길더• 아드미랄 반 데어 에이크: 1,400 길더• 비세로이: 3,000 길더당시 실물가치 비교• 숙련공 연봉: 250-300 길더• 고급 주택: 3,000 길더• 젖소 한 마리: 100 길더버블 발생의 배경경제적 요인요인내용무역 호황동인도무역으로 인한 부의 축적.. 매크로경제 2024. 11. 22.

1637년 포르투갈의 무역독점 몰락과 떠오른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이어지는 금융위기 시리즈는, 1637년 포르투갈의 아시아 무역 독점 붕괴이다. 이는 근대 초기 해상 제국의 몰락을 상징하는 사건이다.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의 부상과 포르투갈의 내부적 한계가 맞물리며, 유럽 최초로 아시아 무역을 장악했던 포르투갈의 시대가 막을 내렸다. 포르투갈 동방무역의 전성기바스쿠 다가마가 1498년 인도 항로를 개척한 이후, 포르투갈은 약 1세기 동안 아시아 무역을 독점했다. 고아, 말라카, 마카오를 잇는 거점 항구들을 통해 향신료와 사치품을 유럽으로 운송했다.특히 1557년 마카오 획득으로 중국-일본 간 중계무역을 독점하며 막대한 이윤을 창출했다. 포르투갈의 리스본은 유럽 최대의 향신료 시장으로 번영했다.포르투갈은 '카루아카'라는 대형 범선을 개발해 대량 운송을 가능케 했고,.. 매크로경제 2024. 11. 21.

연방준비제도를 탄생시킨 1907년 미국 은행공황

1907년 금융공황은 미국 역사상 가장 심각한 은행위기 중 하나였다. 뉴욕의 트러스트 회사들이 연쇄 도산하며 시작된 이 위기는 결국 연방준비제도 설립으로 이어졌다. JP모건이 주도한 민간 구제금융은 중앙은행의 필요성을 각인시켰다. 위기의 시작1907년 10월, 뉴욕의 니커보커 트러스트가 파산하며 위기가 시작됐다. 구리 시장 투기에 실패한 하이네츠-모스 사건이 도화선이었다. 이들은 니커보커 은행의 주요 고객이었고, 투기 실패로 거액의 대출금을 상환하지 못했다. 예금인출 사태가 발생했고, 트러스트 회사들이 연쇄적으로 파산했다.문제는 당시 트러스트 회사들이 정규 은행보다 낮은 지급준비율 규제를 받았다는 점이다.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며 예금을 끌어모았지만, 리스크 관리는 취약했다. 특히 부동산과 주식 투자에 과.. 매크로경제 2024. 1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