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102
마시멜로 실험 오류, 절제의 기술 - 스벤 브링크만

회사에서 주도적인 시간관리가 어려운 3가지 이유
다른 블로그에서 직장 만족도를 높이는 업무습관 시간통제 3가지 비결 이라는 글을 읽고 현재 나의 직장생활에 비추어 보며 이런저런 생각을 해보았다. 이 글이 설파하는 요지는 한국 직장인들의 낮은 업무만족도가 "노예같은 삶"처럼 느껴지는 이유가 크고, 그것은 회사생활 속에서 스스로의 일과 시간을 자율적으로 컨트롤하기 어려운 것에 있다. 그래서 그 굴레를 타파하고 일 속에서 스스로의 만족감을 찾으려면, "일과 시간"에 대해 자기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 간단히 말해서, 내가 업무계획을 안배하고 그에 따라 시간 또한 스스로 알아서 사용하면서 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계속 옆에서 (보통 70%는 상사나 선배, 30%는 나에게 갑인 타부서) 누가 이거해라 저거해라 이건뭐냐 저건뭐냐 시시콜콜 붙들고 늘어지면 짜증..조직문화가 좀먹어 추락하는 한국기업의 미래
회사를 보면 항상 위기를 강조하며 변화와 혁신을 부르짖는다. 생각해보면 한번도 위기가 아닌 적이 없었다. 반대로 잘나간다고 선물이나 예정에 없던 보너스 돈봉투를 준 적은 있던가. 이제는 틈만 나면 위기감 조성으로 구성원을 긴장시키는 그저 의례적인 행동으로 밖에 비치지 않는다. 나라 어렵다고 서민들이 십시일반 금모아주던 시대는 이제 오지 않는다. 국가에 대한 애국심도, 회사에 대한 애사심도, 본인이 받는 처우가 불만족 스럽다면 절대 생겨날 수가 없다. 내가 속한 단체에서 열심히 해서 기여를 하면, 그에 합당한 보상과 나 자신의 발전까지 수반되어야 진정한 보람을 느끼는 것이다. 실제로 물건들고 나르면서 일하는 사람은 한 명인데, 어디에 놔라 빨리 가져와라 조동이만 놀려대는 윗대가리가 5명쯤 있다면 일이 어떻..[회사생활] 그래도 예스맨이다.
국내 대기업 문화가 다 비슷하다. 회사 홈페이지에서 소개하는 인재상같은게 아무 현실성이 없다는 것은 당연히 알고 있을거고, 위에 높은 자리까지 올라가서 회사에서 소위 성공이란 걸 한 사람들의 모습을 보면 그 회사의 인정받는 인재상이 무엇인지와 승진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바로 보고배울 수 있다. 성공인재의 공통적인 특징은 예스맨 공통적인 특징을 몇가지 말하면, 먼저 당연한 얘기겠지만 극히 상향 지향적인 업무자세를 유지한다는점. 쉽게 말해 윗사람 상사에게 충성하는 것을 무엇보다 우선시한다. 어떤 상황에서든 예스맨으로 일관하며 무조건 다된다 할수있다고 대답한다. 그런 모습이 누적되면서 상사에게는 아 얘는 어떻게든 하려는 의지가 있는 열심힌 자세, 그리고 믿고 맡길 수 있는 든든한 오른팔로 인정받게 된다. 숙..시간관리 전문가의 어항과 돌 이야기 : 중요한 것부터 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