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24

부모수당 신청방법과 소급적용 여부

현재 만 0세에서 1세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에 지급되는 영아수당이 부모수당으로 변경됩니다. 2024년이 되면 최대 월 100만원의 부모급여가 지급되게 됩니다. 신청방법과 시기, 2022년 이전 출생아들에 대한 소급적용 여부 살펴보겠습니다. 부모급여 지급금액 월 30만원씩 지급되던 영아수당의 금액이 늘어나는데요. 2023년에는 만 0세에게 70만원, 만 1세에게 35만원을 지급합니다. 2024년부터는 만 0세에게 월 100만원, 만 1세에게 월 50만원씩 지급됩니다. 만약 어린이집을 보내는 중이라면 보육료 지원금 50만원으로 제공이 되는데요. 부모급여 지급액보다 보육료 지원금이 클 경우는 별도 지급이 없고, 부모급여 지급액이 크면 차액만큼을 현금으로 지급합니다. 즉, 2024년 출생한 만0세의 경우 어린이.. 생활금융 2023. 1. 2.

IMF SDR 특별인출권 뜻, 기축통화와 교환성 통화의 차이

제 20대 대통령 선거 TV 토론회 당시, 안철수와 이재명 사이에 오간 대화에서 논란이 되었던 이슈이다. 기축통화국 발언 때문에 화제가 되었는데 그 근거가 되었던 SDR 특별인출권이 무엇인지, 현재 통화바스켓 구성은 어떠한지 알아본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사건의 발단 대선후보 TV 토론회에서 안철수 후보가 이재명 후보에게 확장정책으로 국채 발행을 늘리면 국가 재정건전성이 악화되지 않겠냐, 기축통화국과 비기축통화국 차이를 아시냐 라고 질문하였다. 이재명이 당연히 알죠. 한국이 곧 기축통화국 편입 가능성이 높다는 보도가 있듯이 경제는 매우 튼튼하다. 라고 답했다. 이에 안철수는 낙관적으로 보면 우리도 좀 더 발전하면 그럴 수 있겠지만 지금은 아.. 매크로경제 2023. 1. 1.

아기곰 부동산 전망 2022년 8월부터 상승한다 (신사임당 유튜브)

신사임당 유튜브 채널 팔리기 전에 올해 5월경에 올라왔던 영상인데, 부동산 전문가인 아기곰이 하반기 전망에 대해 얘기하는 내용이다. 결과론적으론 안맞고 틀린 소리가 됐지만 당시의 근거를 복기하는 것은 공부에 도움이 될 듯 해서 올려본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아기곰 주장 요약 2022년 8월부터 계약갱신청구권 사용했던 전세 재계약이 도래하게 되고, 전세금을 4년 상승분만큼 올리느니 차라리 집을 사겠다는 매수세가 유입될 것이다. 1. 계약갱신 청구권 2020년 7월말에 계약갱신 청구권 제도가 시행됨, 2018년 8월~2020년 8월까지 상승분을 포함하지 않고 계약갱신 청구권으로 연장, 그리고 2022년 8월 만료가 되면 4년치의 시가 상승분만큼을 더 얹어줘야 재계약을 할 수 있는 상황이라.. 부동산 2022. 12. 28.

장단기 금리차 역전은 불황신호, 채권 수익률 곡선 총정리

알쏭달쏭한 채권 금리와 수익률의 관계를 확실히 습득하고, 장단기 금리차를 이해해서 채권금리가 어쨌다 하는 경제기사를 문제없이 이해해보고자 한다. 더불어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면 왜 불황의 신호라고 하는지 살펴본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채권이란? 채권은 한단어로 말하자면빚문서이다. 어떤 기관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돈을 빌리면서갚을 기한과 이자를 명시한채무의증권 (재산적 가치를 명기한 증서) 이다. 채권 = 채무 증서의 증권화 증권화라는 얘기는 그 자체를 하나의 금융상품으로써 시장에서 사고 팔수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화폐처럼 그것을 소지하고 있어야 자산의 가치가 인정된다. (그런 의미에서 화폐도 증권의 일종) A가 B에게 100만원을 빌리면서.. 매크로경제 2022. 12. 24.

채권 금리와 수익률 관계 유튜브 강의들 모음

투자공부의 시작은 금리와 채권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다짜고짜 경제 전망이 어떻고 하는 영상들만 찾아보곤 한다. 어려운 거시경제를 이해하기 이전에 먼저 채권의 수익률과 연준의 금리정책에 대한 개념을 잡는것이 필요하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돈워리스쿨 슈카월드 금리설명 아주 초보적인 수준에서 금리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이 돈워리스쿨에서 슈카가 알려주는 영상이 좋다. 왜 많은 사람들이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전망에 관심을 가지고, 또 금리가 경제와 우리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일까.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금리는 이자율이다. 어릴때부터 제대로 된 경제공부나 투자연습 없이 살아왔으니 평생 머리속에 박혀있는 개념이라고는 은행에 돈 맡기면 이자주는것, 반대로 은행에서 대출했.. 매크로경제 2022.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