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보증보험 보증금증액 갱신 연장 방법과 필요서류
치솟는 집값에 전세도 같이 오르면서 증액없이 갱신하는 경우가 많지 않을텐데요. 전세 보증금을 올리면서 전세계약을 갱신하였을 경우 보증보험 연장하는 방법과 필요서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기준입니다.
먼저 주택도시보증공사 HUG 홈페이지로 가셔서 인터넷 보증으로 들어가주시고, 공동인증서 (구 공인인증서) 로그인을 해줍니다.
🔺 전세계약 연장에 따라 보증보험도 기간을 늘리는 경우 보증해지/변경 메뉴로 들어가주세요. 신규로 신청하시는게 아닙니다.
🔺 이렇게 기존에 가입된 보증보험 내역이 나오고요. 이것을 선택하셔서 갱신하시는 것입니다. 리스트에 나와있는 부분을 더블클릭 해주시면 상세 페이지로 들어갑니다.
🔺 가장먼저 맨 위에 신청 구분을 잘 골라주셔야 합니다. <보증금증액+갱신> 을 눌러주세요.
혹시 보증금 동결이라면 그냥 갱신을, 보증금을 낮춰서 재계약하신다면 보증금감액+갱신을 (그럴일이 있을런지) 집이 매매되어 주인이 바뀐 거라면 임대인 변경을 골라주세요.
🔺 이렇게 기존에 가입했던 내역이 나와있기 때문에 새로 작성할 부분이 많지는 않습니다. 새로 갱신한 전세계약의 기간과 바뀌니 임대보증금만 기입해주시면 됩니다.
🔺 전세보증금 반환보험 갱신시 제출서류 목록입니다.
- 확정일자부 전월세계약서 사본
- 임대보증금 증액분 지급을 확인할 수 있는 서류
- 주민등록등본
- 보증신청 고객의 신분증 사본
- 부동산 등기부등본
- (전세보증금 반환) 채권양도 계약서
- <단독, 다중, 다가구>일 경우 전입세대 열람내역
어렵거나 잘 모르겠는 부분이 있으시다면 HUG 담당자 연락처 또는 고객센터로 문의해보시면 되겠습니다.
HUG 주택도시보증공사 전화번호는 1566-9009 입니다.
🔺 저는 이렇게 서류들을 스캔해서 pdf로 만들어 놓고 한번에 쭉 올렸습니다.
🔺 보증금 증액분에 대한 입금증명은 은행 계좌이체 내역으로 들어가신 뒤 이체 건에서 증명서 발급을 누르시면 됩니다.
🔺 이렇게 상세내역 및 이체확인증이 뜨는데요, 맨위에 보시면 전자문서 발급이라고 있어요.
🔺 그러면 이렇게 pdf 형태의 공식 문서로 발급을 해줍니다. 파일로 저장해서 올리면 됩니다.
🔺 등기부등본은 인터넷등기소 들어가신 후 부동산등기 > 발급하기 메뉴를 눌러주세요.
🔺 열람하기와 발급하기가 있는데, 발급하기를 통해서 받은 문서가 법적 효력을 갖습니다. 발급용 화면에서 출력해주세요.
등기부등본에 대해서는 이전에 말씀드린 내용이 있으니, 자세한 발급방법과 문서의 각 부분에 대한 설명은 이전 글을 참고해주세요.
🔺 이렇게 서류를 모두 업로드하고 갱신 신청을 하면 완료가 되고, 담당자의 검토를 거치게 됩니다.
미비한 서류가 있으면 연락이 오고요. 문제없이 심사가 되었다면 갱신 연장에 따른 보증보험료 얼마를 내라고 통지가 됩니다.
그럼 참고하셔서 전세계약 보증금증액 연장시 보증보험도 잘 갱신하시기 바랍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