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CPNG) 기업가치분석 적정주가계산 (JP모건 애널리스트)
(매수매도 추천의견이 아니며 모든 투자 판단의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유튜브 채널 rareliquid를 운영하는 전직 JP모건 애널리스트 벤의 쿠팡 기업가치 분석영상입니다.
영어로 된 영상인데 한국어 자막도 달려있어서 편하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 용어 해설과 기업의 사업 시황, 경쟁회사와의 비교, 가치분석 tool에 근거한 계산까지 여러가지를 깔끔하게 정리해 놓았습니다.
재무제표 용어설명
- 기업가치 (enterprise value) = 시가총액 (market cap) + 부채 (debt) + 비지배지분 (preferred stock) + 우선주 (NCI) - 현금 (cash)
- 시가총액 (market cap) = 지분가치 (equity value) = 주식가격 (share price) X 주식 수 (number of shares)
- 부채 (debt) = bank loans, revolving, credit facility, etc.
집을 살 때 집주인 돈과 은행 대출 합쳐서 10만 달러이면 이 10만 달러가 기업가치가 되고, 집주인 돈 3만달러가 지분가치, 나머지가 빚이 됩니다.
- 순 부채 = 총 빚에서 보유현금을 차감한 것
- LTM = 최근 12개월의 의미
- 매출 총이익률 = 매출 총이익 / 매출 *100
- 매출 총이익은 매출에서 매출원가 COGS를 뺀 것
- EBITDA = 영업이익 + depreciation + amortization (감가와 상각) → 회사가 얼마만큼의 현금을 생성하는지에 대한 지표로 주로 사용합니다.
참고로 감가상각이라고 붙여서 많이 말하고 사전 찾아보면 depreciation이 감가상각이라고도 나오는데 정확히는 감가와 상각이라는 두 단어입니다. depreciation은 설비 등 유형자산의 가치하락을 뜻하고 amortization은 특허권 같은 무형자산상각을 뜻합니다. 그 밖에 광물자원 등에는 depletion 이라고 합니다.
예시)
10달러에 판매하는 티셔츠를 만드는데 2달러가 들어간다고 하고 10개를 팔아서 매출액이 100달러입니다. 이 때 매출 총이익은 매출액에서 판매된 상품에 대한 제조원가를 제한 (※ 전체 생산제품의 원가가 아님) 80달러가 되고요. 매출 총이익률은 80%가 됩니다.
영업이익은 (EBIT, Earning Before Interest and Tax 이자 및 세전 이익) 마케팅과 임금 등에 60달러가 들어갔다고 가정하면 80-60=20달러가 되겠습니다. 감가상각비가 10달러라면 EBITDA는 10달러를 다시 더하여 30달러가 됩니다. 그러면 EBITDA Margin은 30/100 = 30%로 구할 수 있습니다.
쿠팡 기업가치 분석
기업의 가치분석 방법에는 4가지가 있습니다.
- discounted cash flow analysis 현금흐름 할인법
- leveraged buyout 레버리지 매수
- transaction comps 과거거래 비교법
- trading comps 유사기업 비교분석법
여기서는 이 중 4번째 유사기업 비교분석법으로 진행합니다.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고 또 분석에 필요한 재무제표 데이터를 야후 파이낸스 등에서 직접 얻을 수 있기 때문이죠.
1단계 유사기업 묶기
쿠팡을 분석하기 위해 비슷한 e-커머스 기업들을 추려봅니다. 미국의 아마존, 중국의 알리바바 징동닷컴, 싱가포르 Sea, 아르헨티나 MercadoLibre, 그리고 한국의 네이버 카카오 등을 비교하였습니다.
유사기업 비교방법에 문제점은 정확히 같은 조건에서 두 기업을 비교하기가 어렵다는 점입니다. 활동하는 지역도 다르고 거기에 따른 시장환경도 차이가 나고요. 또 기업의 사업영역이 완전히 같지도 않을 것이고 규모도 다를 것입니다.
필연적으로 분석자의 주관과 인사이트가 가미되어서 판단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초보도 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잘하기는 오히려 어려운 분석 방법이 아닌가 싶네요.
2단계 재무정보 모으기
앞서 용어설명에서 나온 재무제표 항목들 위주로 테이블로 추려놓았습니다. 매출 성장률, 매출 총이익률 성장률, EBITDA margin, 매출액, 그리고 마지막은 영상 유튜버가 가장 중요하다고 한 멀티플입니다.
EV (시가총액) / 매출액 즉 PSR (Price Selling Ratio 주당 매출액) 방식의 매출액 기준 멀티플 수치로 비교를 하였습니다. EV/EBITDA 방식도 있고 우리가 잘 아는 PE Ratio도 있는데요. 이것들은 아직 영업이익이나 순이익이 적자인 쿠팡을 비교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따라서 매출액 기준을 사용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멀티플 수치는 실제로 투자자들이 지난 12개월 매출에 대해 1달러당 몇 배를 주식에 지불할 의향이 있는지를 나타냅니다. 배수가 높을수록 고평가되어 있다는 의미이며 동시에 회사의 성장성이 높게 평가받고 있는 것이기도 합니다.
기업가치 분석에서 중요한 점은 과거가 아닌 미래를 봐야 한다는 점인데요. 실제로 주가는 미래의 성장을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러한 데이터들은 큰 비용을 지불해야 볼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LTM 수치로 계산을 하였는데 조사가 가능하다면 미래의 예측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해보는 것도 필요하겠습니다.
3단계 비교 분석
재무제표들을 비교하고 무엇이 이러한 수치를 이끌고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쿠팡은 시가총액 870억 달러이고 아마존 알리바바 등은 훨씬 덩치가 큽니다. 비교할 때 이러한 점을 머리속에 염두에 두고 보아야합니다.
revenue growth 매출 증가율을 보면 쿠팡이 Sea를 제외하고는 단연 최고로 높습니다. 하지만 덩치가 큰 기업은 그만큼 폭발적으로 성장하기는 어렵겠지요. 500억짜리가 1000억이 되면 대단한 것이지만 500원으로 1000원을 만드는 것은 별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쿠팡과 비슷한 시가총액인 Sea, MercadoLibre와 비교했을 때는 얼추 비슷한 수준의 '폭발적 성장세'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이 e-커머스 회사들은 코로나 이후 수혜를 받았기 때문에 그러한 부분이 앞으로도 영원히 이어질 것이라고 보기는 조금 어렵습니다.
마진율 수치들을 보면 비교 회사들 중에 쿠팡이 가장 낮습니다. 이것은 우려되는 부분입니다.
회사의 사업 규모가 커질수록 투자가 효과를 발휘하기 시작하면서 적자폭이 줄거나 마진율이 늘어나야 하는데요. 쿠팡은 비슷한 sea, mercadolibre와 비교해서도 마진율이 낮습니다.
이 부분은 정말 사업이 수익나기 힘든 것인지, 아니면 기존 사업이 돈을 벌어도 동시에 계속 신사업 투자를 감행해서 그런 것인지 살펴보아야.합니다.
한편으로는 저 덩치에도 높은 마진율로 돈을 쓸어담고 성장률까지 뛰어난 아마존이 정말 대단한 기업이고요.
쿠팡의 멀티플 수치는 sea, mercadolibre와 비교해서 매우 낮은데요. 아무래도 현재 수익이 없는 점, 그리고 성장한다 해도 시장의 한계가 지금으로썬 한국이라 동남아나 남미의 10배넘는 인구의 시장에 비하면 여력이 적겠지요. 그러한 부분들이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또 같은 한국기업인 네이버나 카카오도 멀티플이 높은데 이들은 사업 모델이 다양하고 수익을 내고있는 회사이며 또 상장된 증시도 다릅니다. 네이버 카카오 쪽이 고평가라고 볼 수도 있을 거고요.
비교하면서 차이나는 이런 것들을 의문을 가지고 깊게 분석해 들어가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4단계 적정가치 계산
영상에서는 쿠팡의 적정 멀티플을 4~6배 정도로 보았고 이에 따른 적정주가는 28~42 달러로 계산하였습니다.
쿠팡의 매출액을 110억달러 기준으로 한 것인데요. 이번 2분기 실적에서 전년대비 증가세를 보더라도 2021년 매출은 2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렇다고 한다면 2021년 증가한 매출액 기준으로는 동일 멀티플을 맞추려면 적정 주가도 두 배 가까이 올라야된다는 소리가 되는데요. 그런걸 월가 전문가들이 모를리 없겠지만 쿠팡의 주가는 오히려 떨어지면서 생각보다 부진한 모습입니다.
단순히 이런 매출액 기준 주가계산으로만 매겨지는게 아니라 흑자전환 가능성, 신사업 성공여부 등 기업의 미래를 점치는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일 테니까요.
이게 꼭 맞고 맹신할 수는 없는 거겠지만 실제로 전문가들은 어떻게 기업가치를 분석하고 적정 주가를 계산하는지 맛배기로 엿볼 수 있는 좋은 강의영상이었습니다.
<출처 : 유튜브 rareliqui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