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식시장 시가총액과 거래소, 지수목록, 레버리지 ETF 리스트
전세계 주식시장의 국가별 시가총액 규모는 어떻게 될까. 그냥 지수만 들여다보고 있으면 그 무게가 잘 느껴지지 않는데, 이렇게 시가총액 비교를 보면 이바닥에서 자금이 어디에 많이 꽂혀서 굴러가는지 한눈에 보인다. 국가별 거래소 총액을 살펴본다.
세계 주식시장 시가총액 규모
위 데이터에는 영국 (4.7T) 이탈리아 (0.65T) 두 나라가 빠져있다. 그걸 감안하면 2018년 기준으로 미국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이 전세계 주식시장의 40%에 달한다.
한국의 코스피(KOSPI) 지수에서 삼성전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20~30% 사이를 왔다갔다 하는데, 그보다도 훨씬 높은 수치이다. 이정도면 그냥 미국주식시장흐름이 세계 주식시장의 방향을 결정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전세계가 연준의장 파월의 입을 바라보고, 미국 경제지표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데는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그와중에 애플 마소의 시가총액 2.5T는 유럽 선진국 주식시장의 시가총액을 뛰어넘는다는 사실도 놀랍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양적완화하고 자산시장 폭등한 현재에는 어떨까. 좀 더 최근의 자료를 보자면 2021년 8월 기준 세계 증권거래소 시가총액 순위는 아래와 같다.
전체적으로 시가총액들이 많이 증가했는데, 미국의 양대 거래소 NYSE+NASDAQ을 합치면 상위 20개 거래소 시가총액의 44%로 그 비율은 비슷하다.
자산분배의 관점에서 본다면 투자상품을 주식 채권 원자재 기타등등 여러가지로 나눌 수 있고, 주식은 다시 국가별로 나눌수가 있을 것이다.
뭘 살지보다 어디에 투자할지 고민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단순히 비중별로 나눠서 투자한다고 생각하면 전체 자금의 1~2%만 KOSPI 한국주식에 투자하는게 맞겠네.
한국주식에만 다 넣어놓는것은 지금 강남에 빌딩짓고 아파트 올라가면서 개발되고 있는데 시골에서 밭갈고 농사짓는 것처럼 세상물정과 동떨어진 방식일지도 모르겠다.
세계 주식시장 거래소와 지수이름
뉴스라던지, 해외사이트 전광판 보다보면 약어로 나오는 경우도 많아서, 다른나라 주식시장을 뭐라고 부르는지 KOSPI처럼 지수는 뭐라고 부르는지도 알아두면 좋다.
거래소라는건 건물에 있는 실제 유형의 증권 매매가 이루어지는 센터, 즉 회사를 말하는 것이고, 지수라는 것은 특정 시점과 종목수를 기준으로 산출한 무형의 수치이다.
<거래소 EXCHANGE>
NYSE New York Stock Exchange - 미국 뉴욕
NASDAQ - 미국 뉴욕
Shanghai Stock Exchange - 중국 상하이
Euronext - 유럽 주요도시 (암스테르담 브뤼셀 더블린 리스본 밀라노 오슬로 파리) 유럽 주요국들 거래소들을 보유한 회사이다. 2007년 뉴욕 증권거래소와 병합했었다가 2014년 다시 독립되었다.
Japan Exchange Group - 일본 도쿄, 오사카
Hong Kong Exchanges - 중국 홍콩
Shenzhen Stock Exchange - 중국 선전 (심천)
LSEG Londen Stock Exchange Group - 영국 런던
(* 원래 얘네가 이탈리아 거래소도 가지고 있었다가 2020년에 Euronext에 매각했다)
Natioanl Stock Exchange of India - 인도 뭄바이
TMX group Canada - 캐나다 토론토
Deutsche Börse AG - 독일 프랑크푸르트
Tadawul Saudi Stock Exchange - 사우디 리야드
Nasdaq Nordic and Baltics
Korea Exchange - 한국 서울, 부산
SIX Swiss Exchange - 스위스 취리히
Taiwan Stock Exchange - 대만 타이베이
ASX Australian Securities Exchange - 호주 시드니
Tehran Stock Exchange - 이란 테헤란
B3 Brasil Blsa Balcão - 브라질 상파울로
Johannesburg Stock Exchange - 남아공 요하네스버그
거래소마다 MIC라고 식별코드 market identifier code 라는것도 있는데 전문가가 아닌이상 별로 볼 일도 없어서 적지 않았다. 그보다는 종합주가지수 약어를 볼 일이 더 많다.
<주가지수 INDEX>
Dow Jones (DJI) - 미국 다우존스 산업평균 지수, DJIA 또는 다우지수라고도 불림. 미국 증권거래소 상장된 30개 우량기업 종목으로 구성. 시가총액 가중치가 들어가 있지 않고 구성종목의 수익률 평균으로 산출된다. 찰스 다우가 창안한 지수인데 지금은 S&P500 지수 산출하는 S&P Dow Jones Indices 회사에서 산출한다.
S&P 500 (SPX) - 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 앤 푸어스에서 개발한 지수로 현재는 실질적으로 미국을 대표하는 주가지수이다. NYSE+Nasdaq 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중 500대 대기업의 시가총액 가중치를 반영한 종합주가지수.
Nasdaq 100 (IXIC) - 나스닥 거래소에 상장된 기업 중 100개 우량기업을 모아서 만든 주가지수이다. 뉴욕 증권거래소와 별개로 양대 축으로 거듭나기 위해 나스닥 거래소에서 자체적으로 만들어서 시작하였다.
Small Cap 2000 (RUT) - 러셀 인베스트먼트 라는 회사에서 만든 것으로 미국 주식시장 상장 기업들 중 시가총액 1001위~3000위까지의 2000개 기업 (미국 기준으로는 중소기업) 종합주가지수이다. 비슷한 것으로 러셀1000은 시가총액 상위 1000등까지인데 S&P500이 있어서 큰 의미가 없고, 마찬가지로 러셀 3000은 시가총액 3000등까지인데 미국 상장기업 전체추종인 VTI ETF를 보면 되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 따라서 러셀지수라고 하면 보통 스몰캡2000을 말한다.
S&P/TSX - 캐나다 TSX 거래소의 250개 기업으로 구성, 시가총액의 70% 정도, S&P/TSX 60도 있고 Venture 지수도 따로 있다.
IBovespa - 브라질 B3 거래소 84개 종목 종합지수
DAX - 독일 30개 우량기업의 주가지수.
FTSE 100 - Financial Times Stock Exchange 100 Index 영국의 대표적 종합주가지수이다. 시가총액 상위 100개기업으로 구성한다.
FTSE MIB - Milano Indice di Borsa 이탈리아 종합주가지수
CAC 40 - Cotation Assistée en Continu 유로넥스트 파리 거래소의 시가총액 100등 중에서 40개로 구성하여 나타내는 프랑스 종합주가지수
Euro Stoxx 50 - 유로존의 대형 블루칩 50개 기업으로 구성된 종합주가지수. 독일 거래소 회사가 산출한다. 2021년 4월 기준으로 프랑스가 36.6% 독일이 33.2% 들어가 있다.
AEX - Amsterdam Exchange index, 네덜란드 종합지수. most frequently traded 25개 종목으로 구성
SSE Composite - 중국 상하지 종합주가지수 A주식 B주식을 합친 모든주식의 지수이며, 대형종목만 추린 SSE 180, SSE 50도 있다.
SZSE Component - 중국 선전 종합주가지수. 선전 거래소의 500개 종목을 대상으로 한다.
CSI 300 - 상하이 선전 거래소를 통틀어 300개 기업을 뽑아 산출한 중국 본토를 총괄한 종합주가지수. 중국판 S&P 500
China A50 - A주는 중국 내국인 전용으로 위안화로 거래되며 자격을 취득한 해외 기관투자자만 참여가 가능한 주식의 종류이다. 그 중 대표 50개 종목으로 구성된 인덱스
Hang Seng (HSI) - 홍콩 종합주가지수. 자본시장이 빠르게 발달한 곳이다보니 홍콩거래소 시가총액이 중국 본토랑도 비슷한 수준이다.
IBEX 35 - 스페인
SMI - 스위스
PSI 20 - 포르투갈
BEL 20 - 벨기에
ATX - 오스트리아
OMXS30 - 스웨덴
RTSI - 러시아 모스크바 거래소 50개 종목으로 구성, 달러 가격으로 계산된다.
WIG20 - 폴란드
TA 35 - 이스라엘
Tadawul All Share - 사우디 아라비아
Nikkei 225 (N225) - 일본 종합주가지수. 니혼자이 신문에서 산출하기 시작하였다.
S&P/ASX 200 - 호주
S&P/NZX 50 - 뉴질랜드
TAIEX - Taiwan Capitalization Weighted Stock Index 대만
SET - 태국
KOSPI - 한국
IDX Composite - 인도네시아
Nifty 50 - 인도 거래소의 시가총액 상위 50개 종합주가지수
BSE Sensex - S&P에서 산출한 30개 회사의 종합주가지수
PSEi Composite - 필리핀
VN 30 - 베트남
글로벌 국가별 지수ETF 리스트
마지막으로 이러한 세계각국 지수 인덱스ETF에 투자하려면 뭘 사야하는지 본다.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된 ETF 기준으로 티커를 통해 검색 가능하다.
다우지수
지수추종 DIA
2배 레버리지 DDM
3배 레버리지 UDOW
인버스 DOG
인버스 2배 DXD
인버스 3배 SDOW
S&P500
지수추종 SPY
2배 레버리지 SSO
3배 레버리지 UPRO
인버스 SH
인버스 2배 SDS
인버스 3배 SPXS
나스닥
지수추종 QQQ
2배 레버리지 QLD
3배 레버리지 TQQQ
인버스 PSQ
인버스 2배 QID
인버스 3배 SQQQ
캐나다 EWC
벨기에 EWK
그리스 GREK
스페인 EWP
이탈리아 EWI
영국 EWU
스웨덴 EWD
오스트리아 EWO
네덜란드 EWN
스위스 EWL
독일 EWG
러시아 RSX
3배 레버리지 RUSL
터키 TUR
폴란드 EPOL
프랑스 EWQ
유럽 VGK
2배 레버리지 UPV
2배 인버스 EPV
중국
본토 A주 02823
지수추종 FXI
2배 레버리지 XPP
3배 레버리지 YINN
인버스 YXI
인버스 2배 FXP
인버스 3배 YANG
홍콩 02800
대만 EWT
싱가폴 EWS
인도 EPI
인도네시아 EIDO
베트남 VNM
말레이시아 EWM
태국 THD
호주 EWA
뉴질랜드 ENZL
이스라엘 EIS
일본
지수추종 DXJ
2배 레버리지 EZJ
인버스 EWV
그 밖에 이런저런 ETF 리스트 자료들
개별주 등락을 쳐다보고 있는 것도 물론 필요하지만, 내가 지금 어디에서 어떤 게임을 하고 있는지 그 큰 그림을 한번 생각하면서 투자에 임하는 자세도 필요할 것 같다. 세계 주식시장의 시가총액과 지수 명칭, ETF에 대해 알아보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