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126

손익계산서 자산회전율, 매출원가vs제조원가, 영업이익&당기순이익

지난시간에는 재무제표 중 대차대조표에서 중요한 용어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또다른 재무제표인 손익계산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글 🔖 재무제표 1초만 본다면 - 대차대조표 유동비율, 자기자본비율, 단기유동성 🔖 재무제표 보는법 - 자기자본이익률, 자산이익률, 가중평균자본비용 손익계산서는 영어로 Income Statement 또는 P&L (Profit & Loss) Statement 라고 합니다. 수익을 나타내는 재무재표인 손익계산서는 매출액으로 시작합니다. 매출액에서 일반관리비를 빼서 영업이익을 산출 영업이익에서 특별손익 조정과 세금을 반영하면 당기순이익 흔히 말하는 주당순이익 EPS가 이렇게 해서 나온 당기순이익입니다. 주식 1주당 순이익 얼마를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지요. .. 주식투자 2023. 3. 11.

쿠팡은 일본기업인가? 쿠팡탈퇴 불매운동 팩트체크 (2)

덕평물류센터 화재로 촉발된 쿠팡탈퇴 불매운동의 근거들을 팩트체크 해보는 두번째 시간입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이전글 🔖 김범석 의장 사임 꼼수? 지난번에는 화재 당일에 김범석의장이 책임을 회피하고자 사임했다는 기사에 대해 알아보았고요. 오늘은 쿠팡이 일본기업이라는 항간의 썰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처음이 아닌 쿠팡 불매운동 사실 쿠팡이 일본기업인 줄 알고 행해진 불매운동은 이번이 처음이 아닙니다. 2019년 일본이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고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주요 원료에 대해 수출규제를 하면서 경제침공을 일으키는 일이 있었습니다. 당시에 노노재팬 일본 불매운동이 일어났고, 이때도 쿠팡에 불똥이 튀기도 했었습니다. 쿠팡에 대한 거.. 주식투자/종목분석 2023. 3. 11.

쿠팡탈퇴 불매운동 팩트체크 (1) 김범석의장 사임 꼼수?

2021년 6월 17일 덕평물류센터 화재로 촉발된 쿠팡탈퇴 불매운동이 있었습니다. 한달이 지난 시점에선 역시나 잠잠해진 모습입니다. 저는 이번 쿠팡 불매운동은 절대 오래가지 않을 것이고 쿠팡의 장기 성장성에 별다른 타격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단순히 시간이 지나면서 불매운동의 냄비근성이 가라앉을 것이라고 본 것이 아니라, 두 가지 이유 때문입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1) 쿠팡 불매운동을 해야된다고 나도는 근거들이 대부분 허위사실이거나 내용이 빈약함 → 애초에 쿠팡탈퇴 불매운동의 당위성이 부족 2) 쿠팡은 판을 벌여놓고 경쟁업체가 따라오려고 하면 싸우는게 아니라 다음 판으로 넘어감 → 쿠팡의 성장동력 그 본질적 흐름이 지속된다면 이런 위기는 오히려 기회가 될 것 먼저 2번은 쿠.. 주식투자/종목분석 2023. 3. 11.

재무제표 자기자본이익률(ROE), 자산이익률(ROA), 가중평균자본비용

기업의 운영은 철저하게 경영 논리에 맞춰서 움직인다. 막연히 회사를 차려서 사업을 하고 돈을 번다 이게 아니라, 투자 금액의 조달비용 대비, 기대되는 자산이익률을 계산하고 목표에 맞춰서 움직이는 것이다. 이로 인해 때에 따라선 더 많은 부채를 짊어지는게 나은 경우도 있다. 직관적으로는 언뜻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라 차근차근 개념을 살펴보도록 한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부채와 자본의 조달비용 지난 시간에 대차대조표의 기본개념 설명에서 우변은 자금의 조달 방식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회사의 자금 조달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부채와 자본(순자산) 이다. 회사가 조달한 자금인 이 부채와 자본에는 '조달 비용'이라는 것이 붙는다. 조달 비용이란, 이 자.. 주식투자 2023. 3. 5.

재무제표 보는법 - 대차대조표 유동비율, 자기자본비율, 단기유동성

딱 1초만 재무제표를 본다면 어떤 것을 가장 먼저 중요하게 보겠는가. 이에 대한 답은 대차대조표의 유동자산과 유동부채의 비율을 보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회사가 당장 부채상환능력이 부족해서 도산할 위험이 있는지 가려낼 수 있다. 삼성전자 유동비율 당장 오늘내일 하는 위험한 회사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이라 우량 대기업 분석에는 적절할 것 같긴 하다. 어차피 연습이니까 일단 찾기쉬운 삼성전자 대차대조표를 가져와보았다. 단위가 백만 이므로 유동자산과 유동부채가 모두 수십조 단위이다. 유동자산이 유동부채보다 많은지, 유동비율=(유동자산/유동부채)이 100퍼센트를 넘는지만 빠르게 판단한다다. 삼성전자의 경우 한눈에 봐도 유동자산이 훨씬 많음을 알 수 있다. 내용도 살펴보면 삼성전자의 유동부채는 단기차입금과 미지급금이 .. 주식투자 2023. 3.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