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금융57

미래에셋증권 주식계좌로 수수료 없이 달러 이체하기

지난 글에서 카카오페이로 환전 후 하나은행 외화계좌에 달러를 넣는 것까지 진행했었다. 오늘은 미래에셋증권에 가상계좌 만들고 하나은행에서 외화 이체로 달러 보내는 것을 알아본다. 마지막 단계이다. 미래에셋 어플에서 외화연계계좌 메뉴를 찾아서 들어가준다. ✅ 카카오페이 달러환전 후 하나은행 지갑 그러면 이렇게 등록/해지가 나오고 은행을 고를 수 있는데 미래에셋에서 연동되는 은행은 국민은행과 하나은행 두 곳이 가능하다. 이렇게 미래에셋에서 하나은행 가상계좌번호를 생성해놓고 이제 이 계좌번호로 달러를 보내면 된다. 하나은행 어플을 들어간 뒤 (지점에서 외화계좌 개설할 때 모바일뱅킹 신청도 해야한다) 외화계좌를 찾아서 조회한다. 하나은행 평소에 거래를 안해서 청약통장이랑 외화계좌만 있네 계좌정보에서 더보기 메뉴를.. 생활금융 2023. 5. 11.

카카오페이 수수료 없이 환전하고 하나은행 지갑에 보관하기

해외주식 증권계좌로 미래에셋을 사용하고 있는데, 해외주식계좌에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바로 환전 수수료를 얼마나 적게먹고 외화를 예치시킬 수 있느냐이다. 환전수수료 폭탄을 맞아버리면 그즉시 수익률 몇%가 날아가는 셈이 되기 때문에. 카카오페이로 환전을 하고 하나은행 외화계좌를 이용해 미래에셋 증권계좌로 수수료 없이 이체시키는 방법을 해보았다. 금융서비스가 날로 성장하고 있는 카카오페이에서도 간단하게 달러 환전을 할 수가 있다. 카카오페이 달러 환전 유로나 엔화의 경우 환율우대 80%를 지원하고, 달러의 경우에는 90% 우대를 해준다. 달러환전의 경우 환율우대 90%가 되어서 스프레드 2%*0.1이니 실제 환전수수료는 0.2%가 되는 셈이다. 환율우대 100% 받을 수 있는 이벤트가 없다면 90%가 전국 .. 생활금융 2023. 5. 11.

종합소득세 과세표준과 누진세율 계산방법

매년 5월은 한 해 동안 발생한 소득을 합산하고 세금을 확정하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이다. 대한민국 세법에서는 종합소득금액의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누진세율을 차등적용하고 있다. 과세표준과 누진세율이 무엇인지와 계산 방법을 알아본다. 1. 과세표준이란? 종합소득세를 계산하는 로직을 간략히 소개하면서 같이 설명한다. 1) 계산 로직 1년간 경제 활동으로 벌어들인 소득을 합산하여 다음해 5월에 신고를 하는데, 이 합산 금액을 종합소득금액이라고 한다. 여기에는 사업소득, 근로소득, 임대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이 해당된다. 이것들을 합친 다음 바로 세금을 계산하는 게 아니라, 개개인의 상황과 해당되는 요건에 따라 소득공제 금액을 제한다. 이만큼의 소득에 대해서는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된다고 빼.. 생활금융 2023. 4. 8.

수정신고와 경정청구의 차이점에 대해

세금을 납부한 후에 신고서에 오류가 있었을 경우 수정하는 절차가 있다. 바로 수정신고와 경정청구이다. 이 두가지 방식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어떤 경우에 하는지 알아본다. 1. 수정신고 수정신고란? 과세표준 금액이나 납부 세액을 과소신고한 경우, 즉 실제 내야할 금액보다 적게 기입한 경우 수정하는 것이다. 해당자 법정신고기한 내에 과세표준 신고서를 제출한 사람 법정신고기한 지나서 기한후 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한 사람 해당하는 경우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세법에 따라 과제표준 수정신고서를 제출한다. 제출한 신고서에 기재된 과세표준금액 또는 세액이 세법에 의해 신고하여야 할 금액보다 적을 때 신고서에 기재한 결손금액 또는 환급세액이 신고하여야 할 금액보다 적을 때 신고가능 기간 과세 당국으로부터 결정 통.. 생활금융 2023. 4. 6.

납세의무의 성립과 제척기간 소멸시효 의미

대한민국 국민이 가지는 4대 의무 중 납세가 있다. 경제 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돈에 대해서는 국가에 세금을 내는 것이다. 납부하는 세금의 종류에 따라 납세 의무의 성립 시기와 부과의 기간이 달라진다.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다. 1. 납세 의무의 성립 시기 세금의 종류에 따라 납세의무가 발생하는 시점이 다르다. 종합부동산세 : 종부세는 6월 1일을 과세 기준일로 삼으며 이 날을 기준으로 평가한 재산에 따라 세금을 부과한다. 증권거래세 : 주식 매도가 이루어지는 체결 시점에 세금을 징수한다. 인지세 : 과세 문서를 작성하고 인지를 붙일 때 납세의 의무가 생긴다. 상증세 : 상속은 절차가 개시되는 시점, 증여는 취득이 이루어지는 시점에 부과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 과세기간 종료시점에 부과. 202.. 생활금융 2023. 4.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