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증시의 약진과 주식 추천 종목은? Nifty50
우리나라 사람이면 인도라는 국가를 생각할 때 못살고, 더럽다, 인권이 바닥이다, 위험하다, 이런 상상을 많이 하게 된다. 선입견일 지는 몰라도 실제로는 어느 정도 맞는 말이기도 하다.
하지만 탈중국 신냉전 시대인 지금 인도란 시장을 패스하기에는 너무나 큰 위험일지도 모른다. (투자 기회를 놓치는 것 또한 하나의 리스크 포인트이다.) 앞으로 인도란 국가의 발전을 예상해보고 어디에 어느 종목에 투자해봐야 할지 고찰해보자.
1. 인도의 GDP 증가
- 파란색 : 인도의 GDP 증가율
- 회색 : 대한민국 GDP 증가율
아래 차트에서 두 개의 차이를 보면 왜 인도에 투자를 해야 하는지 우선 결론부터 알 수 있다.
한국은 이미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출산율이 박살난 상태이고 국민 연금이나 잘 받으면 그나마 다행인 것이다. 경제성장률도 이미 물가상승률을 제외하면 - 아니면 감사해야 하는 것이다.
향후 성장 동력이 완전히 고갈 되었으며 당장 멸망급 재해가 눈에 보이는 게 없으니 모르는거지 서서히 숨통이 조이고 말라죽는 단계가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전세계 236개국, OECD 국가별 출산율 순위 2023
전세계 출산율 순위 통계 데이터입니다. 주식투자를 하던 사업을 하던 인구 피라미드 구조는 그 나라의 산업 미래를 내다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출산율 데이터로부터 해당 국가의 상황
etfs.tistory.com
2. 모멘텀
인도가 왜 이렇게 GDP의 상승이 가파르고 미래에도 유망한지 이유를 살펴보면 크게 2가지이다.
1) 인구증가 (출산률 2.0명 이상 유지)로 인한 풍부한 값싼 노동력
인도의 인구 증가 추이는 조금 주춤하긴 하지만 아직도 견조하다. 최근 대한민국은 물론 전세계는 물가상승 (임금상승)으로 인한 고통이 매우 큰 상황인데, 인구가 많고 노동력이 풍부한 인도는 그 상승률이 크더라도 한국 임금에 비해 1/7 정도 수준이다.
(한국 200만원 vs 인도 30만원 최저 임금 기준 단순비교 시)
임금은 결국 일할 사람이 없으면 높아지는 것이고 일할 사람이 많으면 비싼 로봇보다는 싼 사람을 그냥 쓰는게 낫게 된다. 한국 일본 미국은 임금 상승으로 인해 로봇 및 자동화의 바람이 부는 중인 이유다.
韓 세계 1위 로봇 밀집도, 노동혁명 시작됐다… “365일 근무, 파업도 없어”
韓 세계 1위 로봇 밀집도, 노동혁명 시작됐다 365일 근무, 파업도 없어 노동 문화 변화·노동쟁의·인건비 상승 영향 협동로봇, 산업 현장 혁신 리더로 자리 잡아 음식 나르고 장애인 돕고, 서비스
biz.chosun.com
2) 과학굴기 및 양질의 교육 시스템
인도는 많은 인구 만큼이나 맨파워의 중요성을 알고 있는 나라이다. 대한민국은 이제 겨우 인공 위성 쏘고있을 때 이미 인도는 달 착륙까지 하고 핵무기까지 가지고 있는 나라이다.
고등교육은 세계 3위인데 이게 정말 시간만 때우고 필요없는 걸 가르치는게 아니다. 미국에서도 인도의 이민자들은 학사를 77퍼센트 이상 수료한다. (미국 인구 평균 수료율이 33%인 것과 대조됨) 물론 미국에 이민갈 정도면 잘사는 사람들이고 교육도 많이 받았을 테지만 그래도 인구 숫자를 보면 대단하다는 생각이다.
인도의 2두가지 장점 : 많은 인구 + 질좋은 인구는 당연히 국가 차원의 발전을 이룰 수 밖에 없는 조건이다. 거기에 넓은 토지와 자원은 덤일세~~~
3. 인도 관련 ETF
그렇다면 인도에 투자를 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2가지 정도를 생각하면 된다.
- 1. 해외계좌를 터서 나스닥에 상장되어있는 인도 관련 ETF를 매수
- 2. 국내 계좌를 터서 인도 관련 ETF를 매수
1번의 장점은 미국 달러로 사게 되어 달러 강세가 되고 원화가 약하다면 더 효과가 극대화 된다는 것이다. 2024년 5월1일 기준 1389원으로 10년 장기평균 1167원 / 5년 평균 1219원 / 3년 평균 1250원에 비해 다소 높은 상태라 나는 좀 꺼려진다.
2번 국내 계좌에서 살만한 ETF는 미래에셋과 삼성증권에서 운영하는 것들이 있는데
- KODEX 인도Nifty50 [453810]
- TIGER 인도니프티50 [453870]
정도가 좋아보인다. 이미 1년 전 설정일로부터 수익률 25% 정도가 나온 상황이다. (환율 헷지를 안한 상품이라서 나중에 원화의 위치에 따라 그 수익률이 가감이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노후 준비를 위한 투자로 인도에 투자한다면 고려해 볼 만한 요소들을 공부해보았다. 개인적으로는 퇴직금을 DC로 전환하여 인도 ETF를 모아갈 예정이다.
댓글